![The Lecture #5 [AI 노드 운영 자동화와 모니터링]의 커버 이미지](https://images.lumacdn.com/cdn-cgi/image/format=auto,fit=cover,dpr=2,background=white,quality=75,width=400,height=400/event-covers/wx/5a1d5172-809b-4a0c-9761-ff1c6f490e87.png)
![The Lecture #5 [AI 노드 운영 자동화와 모니터링]의 커버 이미지](https://images.lumacdn.com/cdn-cgi/image/format=auto,fit=cover,dpr=2,background=white,quality=75,width=400,height=400/event-covers/wx/5a1d5172-809b-4a0c-9761-ff1c6f490e87.png)
The Lecture #5 [AI 노드 운영 자동화와 모니터링]
The Lecture
<더 렉처>는 웹3로 온보딩 하거나, 활동하고 있는 빌더들을 위한 강연이야.
웹3의 재단, 기업, 현업자를 연사로 모셔서 웹3 빌더로서의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들어볼 수 있어!
The Lecture #5
'AI 노드 운영 자동화와 모니터링: Prometheus & Grafana로 시작하는 실전 인프라 관제'
AI 기반 워크플로와 실시간 모니터링 툴을 활용해
Web3 인프라 운영을 자동화하는 실전 노하우를 배워보는 세션!
*인프라 관제: IT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서버, 네트워크, 노드, 서비스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작업 전반
👄 스피커
흑우촌
업비트 NFT에서 ‘흑*촌’ 닉네임으로 TOP 컬렉터 랭킹에 이름을 올렸고, 현재는 트레이딩을 돕는 소프트웨어 자영업을 하는 웹3 빌더야. 블록체인 노드 RPC를 직접 운영하며 쌓은 실전 노하우들을 이번 기회에 공유하고자 해!
💡 주제 소개
바이브 코딩 × 노드 운영 자동화
Cursor, Copilot 등 AI 코딩 툴을 활용한 운영 스크립트 자동화
반복 작업을 줄이고, 예외 상황 대응까지 에이전트가 도와주는 실전 사례Prometheus & Grafana 실습
Web3 노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알림 시스템까지 연결하는 관제의 첫 걸음을 직접 체험해봐Web2 ↔ Web3 인프라 운영 비교
기존 Web2 DevOps 경험을 가진 빌더라면,
Web3에서 어떤 운영 철학과 툴셋이 필요한지 정확히 비교해볼 수 있어
🎯 이런 사람에게 딱이야!
AI 코딩 툴을 실무 운영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고 싶은 분
Web3 인프라를 처음 운영해보려는 Web2 DevOps 팀
NodeOps 자동화에 관심 있는 엔지니어
반복적인 인프라 운영에 지친 모든 빌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