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Image for [북토크] 유발하라리 <넥서스>](https://images.lumacdn.com/cdn-cgi/image/format=auto,fit=cover,dpr=2,background=white,quality=75,width=400,height=400/event-covers/as/8f1b4406-17d8-498f-bb3a-0854f33093e7.png)
![Cover Image for [북토크] 유발하라리 <넥서스>](https://images.lumacdn.com/cdn-cgi/image/format=auto,fit=cover,dpr=2,background=white,quality=75,width=400,height=400/event-covers/as/8f1b4406-17d8-498f-bb3a-0854f33093e7.png)
[북토크] 유발하라리 <넥서스>
유발 하리리의 <넥서스> 다같이 참여하는 북토크합니다.
이야기꾼 유발 하라리 교수는 넥서스에서 정보의 역사를 풀어내면서 AI 시대 정보의 역할에 대해 많은 화두를 던졌습니다. 이번 북토크에서는 아래와 같은 질문들은 깊이 있게 논의해 보려고 합니다. 모더레이터의 자세한 북리뷰를 참고하세요.
정보가 성공적으로 상호주관적인 현실을 창조해 낼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
AI 시대 민주주의 대화와 합의의 방식은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
AI와 함께 일해야 하는 우리는 어떤 역량을 준비해야 하나?
미래 세대에게 일은 어떤 의미로 바뀔 것인가?
AI 시대에 어울리는 소양과 역량을 갖추기 위해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AI에게 의사결정을 맡긴다면 어디까지가 한계일까?
AI의 폭주를 막기 위해선 어떤 자정장치가 필요할까? 인간의 규제는 어떻게 준비되어야 할까?
심도 있는 토론을 위해 각 분야에 훌륭한 패널을 모셨습니다. 하지만, 패널은 일종의 발제자 역할을 할뿐 청중들의 적극적인 토론 참여를 기대합니다. 그 때문에 북토크는 30명으로 소규모로 진행합니다. (음식과 주차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패널
김용범 (해시드 오픈 리서치 대표, 전 기재부 차관, <격변과 균형> 저자)
권순선 (Google Global AI Developer Programs Lead)
양소희 (유난무브먼트 파운더, 전진하는민주주의 VALID 공동대표)
류정혜 (AI 미래포럼 공동의장, (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VP)
고승원 (더그레잇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Solopreneur, <솔로프리너의 시대> 저자)
박형배 (도쿄 Digital Architecture Lab 연구원, <이것이 기술윤리다> 역자, <AI윤리레터> 필진)
전정환 (크립톤 부대표, <커뮤니티 자본론> 저자)
김승일 (모두의연구소 대표)
유호현 (옥소폴리틱스 대표,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디지털 전환과 사회변혁팀장. 바이브 코더. <AI, 신들의 전쟁> 저자)
이항심 (KU 미래의 일 연구소 소장, 건국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시그니처> 저자)
장동선 (궁금한뇌연구소/Future Explorer Society 대표, 뇌과학자, 전 현대자동차그룹 미래기술전략팀장) (사정상 불참)
전진수 (프리워커, 전 슈퍼랩스 대표, SKT 부사장)
진행순서
~ 7:00: 네트워킹
7:00 - 7:05: Opening
7:05 - 7:15: <넥서스> 요약 발표 - 유호현
7:15 - 7:20: 패널 소개 (각자 짧게)
7:20 - 8:20: 북토크 세션 1
8:20 - 8:30: Break
8:30 - 9:40: 북토크 세션 2
9:40 - 9:50: Closing
토론 주제 꼭지와 발제
정보의 역할: 김승일, 김용범, 전정환
AI/알고리즘과 민주주의: 유호현, 양소희
AI를 맞이하는 우리의 대응: 이항심, 박형배, 류정혜, 고승원, 전진수
소규모 북토크로 진행하다보니 신청해 주신 내용 기반으로 승인드립니다. 30명이 넘을 경우 대기자로 등록되고 취소가 생길 경우 순서대로 승인됩니다. 만약 부득이 불참할 경우 다음 사람에게 기회를 드리기 위해 반드시 취소를 부탁드립니다. 취소 없이 불참할 경우 다음 북토크에 참석이 제한됩니다.
이번 북토크는 모두의연구소에서 장소를 협찬하고 함께 준비해 주셨습니다.